광배근 ( 넓은등근 활배근 Latissimus dorsi ) 알아보기
광배근은 등에서 가장 넓은 부분을 차지하는 큰 근육으로 어깨 관절 신전, 내전, 내회전 작용을 합니다. 어깨관절부터 어깨뼈, 척추 관절, 골반을 안정화시키고 흉요근막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광배근은 허리통증이 있거나 등에 담이 들렸을 때 치료해주어야 하고, 이완성 긴장이 잘 되어 하부 흉추 및 요추 후만, 골반 후반 경사 등일 때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광배근 부착부위
이는 곳(Origin, 기시점)은 어깨뼈 아래쪽 각, T7-L5의 가시돌기, 엉치뼈 뒤쪽, 엉덩뼈 능선 뒤쪽입니다. 닿는 곳(Insertion, 정지점)은 위팔뼈 두갈래근 고랑입니다.
광배근 작용, 움직임
어깨관절 폄, 위팔뼈 모음, 위팔뼈 안쪽 돌림을 합니다. 또한 어깨뼈를 하강시키는 움직임을 도와줍니다.
광배근 특이사항
앉은 자세에서 팔을 고정한 채 체중을 들어 올리거나, 목발을 짚는 경우 등에서 광배근이 사용됩니다. 광배근은 어깨관절과 어깨뼈를 안정화시키며, 척추 관절과 골반 또한 안정화시킵니다. 광배근이 정상보다 짧은 경우 어깨뼈의 하각이 들리는 익상 견갑 현상이 나타나고, 어깨뼈 하각 주위에 트리거 포인트(trigger point)가 있습니다.
광배근 신경 지배
가슴과 위쪽 등 부위에 분포하는 가슴 등신경(C6,7,8)이 지배합니다. 가슴 등신경은 사각근을 경유하기 때문에 광배근에 담이 걸리면 호흡을 하는 데도 불편하고 통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광배근 치료해야 하는 경우
광배근은 흉요근막(thoracolumbar fasica)과 연결되어 있어, 이 흉요근막이 타이트해지는 경우 허리 통증이 발생합니다. 특히 이완성 긴장이 잘 되는 근육으로 하부 흉추 및 요추 후만, 골반 후반 경사 등일 때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또한, 등에 담이 왔을 때 확인이 필요한 근육입니다.
광배근 치료하는 방법
허리 통증이 있을 때, 흉요근막이 원인이라면 광배근의 닿는 곳인 겨드랑이 부근과 어깨뼈 하각 트리거 포인트를 풀어주면 통증이 감소합니다. 대원근은 광배근과 정지점이 같아서 함께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혼자서 푸는 방법으로는 폼롤러, 마사지볼, 벽 스트레칭 등이 있습니다.
광배근 관련 운동
수영에서 자유형의 스트로크는 팔의 폄, 모음, 안쪽 돌림이 포함되어 광배근이 많이 사용됩니다. 웨이트 종목의 경우 랫풀다운, 풀업, 벤트 오버 로우, T바 로우 등이 있습니다.
'해부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능해부학] 극상근 (가시위근 supraspinatus) (0) | 2022.10.19 |
---|
댓글